등반기술위원회

64c5303b92243fcba64034ba5590463e_1618839668_1511.jpg

주요직무

가. 등반기술의 개발과 해외등반사조의 보급

나. 고산 및 거벽등반 기획 및 추진

다. 해외원정대 지원 심사 및 정보지원

마. 전문 등반장비의 개발 및 인증

바. UIAA 원정(Access) 위원회의 참여

외국의 국립공원에서 안전을 이유로 등산객을 통제하는 사례

작성자 정보

  • 안치영 작성 28 조회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0 댓글

본문

 

외국의 국립공원에서 안전을 이유로 등산객을 통제하는 사례

 

미국

1. 요세미티 국립공원 (Yosemite National Park)

. 폭설, 바위 낙석, 산불 등으로 인한 폐쇄 :

하프돔 케이블 구간은 번개 위험이 있거나 눈이 많으면 폐쇄됨.

. 허가제 실시:

하프돔 등은 시즌별 제한 인원 허가제(Permit System)를 통해 사고 예방.

 

2. 그랜드 캐니언 국립공원 (Grand Canyon National Park)

. 고온 주의보 발효 시 일부 구간(리버 트레일 등) 경고 및 접근 제한.

. 폭우 이후 급류 가능성이 있을 때 계곡 트레일 폐쇄.

 

c 캐나다

1. 밴프 국립공원 (Banff National Park)

. 야생동물 활동(곰 활동 등)으로 일부 트레일 일시 폐쇄.

. 눈사태 경보나 빙하 균열 위험 시 고지대 루트 통제.

 

g 영국 레이크 디스트릭트 등

1. 위험한 기상 상황(폭풍, 안개 등) 예보 시 지역 산악구조대나 관리기관이 비공식적으로 경 고 하거나 코스 이용 자제 권고.

2. 법적 강제성은 없지만, 공공안전 권고 수준이 매우 강함.

 

n 뉴질랜드

1. 통가리로 알파인 크로싱(Tongariro Alpine Crossing)

. 화산활동, 기상특보 시 즉각 폐쇄됨.

. DOC (Department of Conservation)가 상시 출입 통제 및 위험도 공지.

 

c 스위스

1. 특정 지역은 빙하 붕괴 가능성 등으로 임시 통행 금지 조치.

2. 사고 위험 높은 계절(봄철 빙하 융해 등)에는 루트 자체를 폐쇄하거나 장비 기준을 정해

이용자 제한.

 

 

 

 

 

주요 특징 요약

국가

통제 기준

강제력

적용방식

미국

낙석,폭우,번개,산불

- 미연방 규정 제36(국립공원,, 공공재산)에 따라

방문객ㆍ자원 보호ㆍ안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 시 구역

폐쇄·사용 제한 가능

규제는 최소 범위에서 이뤄지며,

비상 시에는 즉각 시행됨.

- 하프돔 케이블 구간은 번개나 눈·빙판 위험 시 폐쇄, 또는 허가제

- 안전 정보 앱, 방문 전 레인저에게 여행 계획 점검 권장

캐나다

, 눈사태

강제

(Parks Canada,주 정부규정)

- 밴프 국립공원:

곰 출몰 및 눈사태 위험 시 해당 트레일 즉시 폐쇄,

일일‘Avalanche

bulletin’ 발간

재스퍼 국립공원

Tonquin Valley: 2021년 겨울부터 매년 11~이듬해 5월까지 카리부(순록) 보호를 위해 겨울철 폐쇄

뉴질랜드

화산활동, 폭설

DOC(Department of Conservation)에서 상시 등산객 출입 여부 평가 및 정보 제공(화산 경보 체계)

통가리로 알파인 크로싱은 화산 활동 지수, 폭설·폭우 등 위험 시 즉시 폐쇄됨.

스위스

빙하, 계절적 위험

일부 법적(연방·주 법령,산악안전규정)

-빙하 붕괴 위험 또는 봄철 융해 시기에는 트레일 임시 및 계절 제한.

일부 루트는 이용

전에 특정 장비(크램폰 등)를 필수 착용하도록 규제.

영국

기상, 구조난이도

자율 권고(공공안전 권고 중심)

- 기상악화(안개·폭풍 등) 예상 시 산악 구조대나 공원청이 출입

자제권고형태로 대응.

등산 난이도 높은

코스에 경고 메시지만 제공하며, 법적 폐쇄 조치는 흔치 않음.

결론

외국에서도 자연공원의 등산로나 암벽을 위험 상황에 따라 일시적으로 통제하는 것은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1. 과도하거나 일률적인 기준은 드물고,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