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베레스트 정상에서 불법인 행위는?
작성자 정보
- 국제교류위원회 작성 3,388 조회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0 댓글
-
본문
지난 5월 15일, 멕시코의 19세 청년 후안 디에고 마르티네스 알바레스가 에베레스트 정상에 섰다. 정상에서 셰르파 가이드가 메고 올라온 전자키보드를 꺼내 연주했다. 기네스북 등재를 위한 이색 이벤트였다. 그러나 이 등반은 네팔 정부가 인정하는 기록으로 남지 못했다.
이를 위한 허가를 사전에 얻지 않았다는 이유였다. 마르티네스는 이로 인해 등정증도 받지 못하고 불법적인 활동으로 수 년 동안 네팔 입국 불허 처분을 받을 전망이다.
게다가 대행료는 35만 달러(4천만 원)에 달해 그것도 화제가 됐다. 대행사는 8천 미터 14좌 최단시간 완주로 유명해진 니르말 푸르자가 대표로 있는 <엘리트익스피디션>이었다.
니르말 푸르자의 대행사는 2019년에도 유사한 사건으로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유명한 산 아마다블람 정상에 길이 100m 폭 30m, 무게 150kg에 달하는 쿠웨이트 국기를 펼쳤는데 이 역시 당국의 허가를 받지 않은 채였기 때문이다.
한편 러시아 등반가 카티야 립카는 에베레스트 정상에 오른 뒤 전쟁에 반대하는 의미로 우크라이나 국기를 펼쳤다. 이 사진이 소셜미디어에서 크게 주목되자, 네팔 당국은 역시 립카에 대해서도 등정증을 회수하는 명령을 내렸다.
8천 미터 고산 정상에서 전자키보드 연주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프랑스의 등산가이드 필리프 게닌은 2021년에 가셔브룸2봉 정상에서 연주한 바 있다. 당시 파키스탄 정부로부터는 아무런 제재가 없었다.
게닌은 2023년 에베레스트 정상에 전자키보드를 갖고 올라갈 계획이다.
![]()
에베레스트 정상에서 전자키보드를 연주하는 멕시코 등반가. 사진 락파 덴디.

가셔브룸2봉 정상에서 전자키보드를 연주한 필리프 게닌. 사진 필리프 게닌.

에베레스트 정상에서 우크라이나 깃발을 들고 있는 러시아인 등반가. 사진 카티야 립카.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